•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상담전화

031-913-9697

업무시간:
평일 오전 9:00 ~ 오후 6:00

FAX 031-913-9698

무료상담신청

- -
  

[자세히보기]

근로자가 사직서를 제출하고 근로를 제공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결근기간에 대한 4대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해당 결근기간을 근로기간에 포함하여 퇴직금액을 산정하여야 한다고 판시한 사례

근로자가 사직서를 제출하고 근로를 제공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결근기간에 대한 4대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해당 결근기간을 근로기간에 포함하여 퇴직금액을 산정하여야 한다고 판시한 사례

의정부지법 2016-3-16 선고 20151990 판결

사건명 : 근로기준법위반,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위반

원심판결 : 의정부지방법원 2015. 7. 16. 선고 2015고정697 판결

 

 

판시사항
재판요지
 가. 사용자인 피고인이 근로자에게 미지급한 급여액에서 ① 취업규칙상 규정된 감봉처분 절차를 거치지 않고 감봉처리한 금액, ② 원천징수의 대상이 되는 소득세, 주민세, 국민연금보험료, 건강보험료, 고용보험료 등을 공제해야 한다고 주장한 경우, 이는 임금 등 지급의무의 존부 및 범위에 관하여 다툴 만한 근거가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어 근로기준법 제109조 제1항, 제36조 위반죄의 고의가 인정된다고 판시한 사례 
 나. 근로자가 사직서를 제출하고 현실적으로 근로를 제공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① 근로자에게 사직서를 반려한다는 의사를 내용증명으로 통지하고 ② 근로자임을 전제로 결근기간에 대한 4대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해당 결근기간을 근로기간에 포함하여 퇴직금액을 산정하여야 한다고 판시한 사례
당사자
【피고인】 A
【항소인】 피고인
【검 사】 홍○○(기소), 김○○(공판)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피고인에 대한 형의 선고를 유예한다.
이유
1. 항소이유의 요지

가. 사실오인
원심에서는 피고인이 근로자 D(이하 ‘D’라고만 한다)에게 2013. 12.분 임금 2,700,000원, 2013, 2014년 연차유급휴가미사용수당 765,504원, 2011. 11. 7.부터 2014. 2. 28.까지 퇴직금 6,645,728원 합계 10,111,232원(= 2,700,000원 + 765,504 + 6,645,728원) 상당의 임금 및 퇴직금을 지급하지 못하였다고 인정하였으나, (1) D의 잦은 무단외출 등 불성실한 근무로 인해 2013. 12.분 임금 2,700,000원 중 450,000원을 감봉처리하였고, 위 2,700,000원에는 세금 213,370원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2013. 12.분 미지급 임금은 2,073,750원(주1)이 되어야 하고, (2) D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잦은 결근을 하였음에도 매월 월급을 전액 지급받았는데 결근한 부분을 반영하면 1,548,300원(= 2011년 349,360원 + 2012년 1,042,260원 + 2013년 174,680원)의 급여가 초과 지급되었으므로, 이 금액에서 미지급 연차휴가 미사용수당 765,504원을 공제한 나머지 782,796원(= 1,548,300원 - 765,504원)이 피고인에게 반환되어야 하며, (3) D는 2014. 2. 28.까지 근무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2014. 1. 및 2.에는 근로를 제공한 사실이 없어 미지급 퇴직금의 액수는 6,645,728원이 아닌 4,053,290원(주2)이므로, 미지급한 임금 등의 액수는 합계 5,344,444원(= 2013. 12.분 임금 2,073,750원 - 초과 지급 급여 782,796원 + 퇴직금 4,053,490원)에 불과하다(위 5,344,444원을 초과하는 금액 부분에 관하여는 임금 등 미지급에 관한 고의가 없었다는 취지로 해석한다).

나. 양형부당
원심의 형(벌금 150만 원)은 너무 무거워서 부당하다.

2. 판단

가. 사실오인 주장에 대한 판단

(1) 관련법리
임금 등 지급의무의 존재에 관하여 다툴 만한 근거가 있는 것이라면 사용자가 그 임금 등을 지급하지 아니한 데에는 상당한 이유가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어서 사용자에게 근로기준법 제109조 제1항, 제36조 위반죄의 고의가 있었다고 인정하기 어렵고, 임금 등 지급의무의 존부 및 범위에 관하여 다툴 만한 근거가 있는지 여부는 사용자의 지급거절이유 및 그 지급의무의 근거, 그리고 사용자가 운영하는 회사의 조직과 규모, 사업목적 등 제반 사항, 기타 임금 등 지급의무의 존부 및 범위에 관한 다툼 당시의 제반정황에 비추어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대법원 2007. 6. 28. 선고 2007도1539 판결 등 참조).

(2) 판단
원심 및 당심이 적법하게 채택하여 조사한 증거들에 의해 인정되는 다음과 같은 사정들을 종합하여 보면, 피고인이 D에게 임금, 수당, 퇴직금 등 합계 10,111,232원을 지급하지 않은 사실을 인정할 수 있고, 위 법리에 비추어 볼 때 피고인이 임금 등의 지급의무의 존부 및 범위에 관하여 다툴 만한 근거가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으므로 근로기준법 및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위반의 고의도 인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피고인의 사실오인 주장은 이유 없다.
(가) 피고인은 D의 근무태도 불량으로 인해 2013. 12.분 임금에서 450,000원이 감봉처리되었다고 주장하는바, 피고인이 제출한 “2013년 12월분 급여(상여) 명세서”에 ‘근태공제’라는 항목으로 412,880원이 공제된 것으로 기재되어 있고, ○○섬유의 취업규칙에는 허가 없이 결근, 지각, 무단외출, 조퇴를 하였을 경우 등을 감봉처분을 할 수 있는 사유로 규정하고 있는 점은 인정되나, 취업규칙상 감봉의 징계처분을 하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인사위원회를 소집하고 징계대상자에게 통보하여 소명기회를 부여하게 되어 있는데(제50, 52, 54조) 피고인은 감봉처분을 하기 위한 아무런 절차를 거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나) 피고인은 미지급된 2013. 12.분 급여에서 세금 213,370원이 공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바, 위 “2013년 12월분 급여(상여) 명세서”에 의하면 이는 갑종근로소득세, 주민세, 국민연금보험료, 건강보험료, 고용보험료 등의 합계금액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원천징수하는 소득세에 대한 징수의무자의 납부의무는 원칙적으로 소득금액을 지급하는 때 성립하고 이에 대응하는 수급자의 수인의무의 성립시기도 같다고 할 것이므로, 지급자가 위 소득금액의 지급시기 전에 미리 원천세액을 징수.공제할 수는 없고, 원천징수의 대상이 되는 소득이라고 하여 소득의 범위 그 자체가 당연히 원천세액만큼 감축되는 것도 아니며(대법원 1994. 9. 23. 선고 G0 판결 등 참조), 이러한 법리는 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 제88조의2 제1항, 국민건강보험법 제79조 제1항,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 제16조의2 제1항에 의한 국민연금보험료, 국민건강보험료, 고용보험료의 징수.공제에 관하여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것(대법원 2015. 2. 12. 선고 2012다85472 판결)을 감안하면, 미지급 급여액에서 피고인 주장과 같은 금액이 공제되어야 한다고 볼 수 없다.
(다) 피고인은 D가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결근한 부분을 정산하면 급여 1,548,300원이 초과 지급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피고인은 수사단계에서 이루어진 D와의 대질신문과정에서도 위와 같은 내용은 진술한 바 없었고(수사기록 1권 3면 이하 및 139면 이하) 원심에서도 2013. 12.분 임금이나 퇴직금에 대하여는 미지급 액수를 다투면서도 이 부분에 관한 공제 주장은 하지 않다가 원심 제2회 공판기일에서는 이 사건 공소사실을 전부 인정하기도 한 점(공판기록 33, 34, 46면), 피고인이 D 등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등 청구소송(의정부지방법원 2014가단22253)에서도 D의 납품 관련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금채권액이나 2013. 12.분 임금 및 퇴직금 액수에 관한 주장을 하였을 뿐 이 부분에 관한 공제 등 주장은 한 바가 없고(수사기록 1권14면 이하) 위 소송에서 피고인의 D에 대한 청구를 포기하는 내용이 포함된 강제조정결정이 확정된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위 1,548,300원이 공제되어야 하는 금액이라고 보기 어렵다.
(라) 원심 증인 D의 증언 등에 의하면 D가 2014. 1. 2.부터 출근을 하지 않다가 2014. 1. 14. 사직서를 제출하는 등 2014. 1.부터 2014. 2. 28.까지 현실적으로 근로를 제공하지 않은 점은 인정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제8조에 따라 퇴직근로자에게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하여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 지급하여야 하고, 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6호, 제2항에 따르면 평균임금은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 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하되, 이 금액이 통상임금보다 적으면 통상임금을 평균임금으로 하게 되어 있는데, 피고인은 2014. 1. 17. 내용증명으로 D의 위 사직서를 반려한다는 의사를 통지하고 2014. 2. 28.까지 D가 ○○섬유의 근로자임을 전제로 그에 대한 4대보험료를 납부하기도 한 점(공판기록 53면, 수사기록 149면), 2014. 2. 28.을 퇴직금 산정사유 발생일로 하여 계산한 평균임금이 통상임금보다 적으므로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퇴직금을 산정하면 그 금액은 공소사실 기재 6,645,728원이 되는 점(수사기록 150면), 피고인은 수사과정에서 미지급 퇴직금 액수가 위와 같이 6,645,728원인 사실을 인정하였고 앞서 본 바와 같이 원심 공판기일에서 공소사실을 전부 인정하였으며, D가 피고인을 상대로 공소사실 기재 합계 10,111,232원(= 미지급 임금 2,700,000원 + 미지급 수당 765,504 + 퇴직금 6,645,728원)의 지급을 구한 임금 등 청구소송(의정부지방법원 2015가소4966)에서 승소판결을 받아 판결이 확정된 점에 비추어 보면, 미지급 퇴직금 액수가 피고인 주장과 같이 4,053,490원에 그친다고 볼 수 없다.
(마) 피고인은 D가 제출한 사직서를 반려하면서 D에게 ‘D의 귀책사유로 인해 ○○섬유에 손해가 발생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책임을 묻겠다’라는 내용의 통지를 하였고, D가 2014. 3. 21. 미지급 임금 등의 지급을 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하였음에도(수사기록 2권 3면) 미지급 임금 등 지급을 거부한 채 2014. 5. 3. 위 (다)항 기재 손해배상 등 청구소송을 제기하였으나, 앞서 본 바와 같이 위 소송에서는 피고인의 청구를 전부 포기하는 내용의 강제조정결정이 확정되었다.

나. 양형부당 주장에 대한 판단
당심에 이르러 피고인이 D에 대한 미지급 임금 및 퇴직금을 모두 지급하여 D가 피고인에 대한 고소를 취소한 점, 1997년에 벌금형을 1회 받은 것 외에 형사처벌 전력이 없는 점, 그 밖에 피고인의 나이, 이 사건 범행에 이르게 된 동기와 경위, 수단, 방법 및 결과, 범행 전후의 정황 등 이 사건 기록 및 변론에 나타난 제반 양형조건(주3)을 고려하면, 원심이 선고한 형은 무거워 부당하다고 인정되므로 피고인의 위 양형부당 주장은 이유 있다.

3. 결론

따라서 형사소송법 제364조 제6항에 의하여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다시 변론을 거쳐 다음과 같이 판결한다.

[범죄사실 및 증거의 요지]
이 법원이 인정하는 피고인의 범죄사실 및 이에 대한 증거의 요지는, 원심판결문 제2면 제4행의 “3,052,624원”을 “3,465,504원”으로 고치는 것 외에는 원심판결문의 각 해당란 기재와 같으므로, 형사소송법 제369조에 의하여 이를 그대로 인용한다.

[법령의 적용]
1. 범죄사실에 대한 해당법조
 근로기준법 제109조 제1항, 제36조(임금 미지급의 점),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제44조 제1호, 제9조(퇴직금 미지급의 점)
1. 상상적 경합
 형법 제40조, 제50조
1. 형의 선택
 벌금형 선택
1. 노역장유치
 형법 제70조 제1항, 제69조 제2항
1. 선고유예
 형법 제59조 제1항(앞서 본 파기사유 기재와 같은 형법 제51조 소정의 양형조건을 참작하면 개전의 정상이 현저함. 유예할 형 : 벌금 1,500,000원, 노역장유치 : 1일당 100,000원)ⓔ

───────────────────────────────────────
(주1) 2,700,000원에서 450,000원 및 213,370원을 각 공제한 금액은 2,036,630원(= 
      2,700,000원 -450,000원 -213,370원)이나, 피고인이 제출한 항소이유서에 첨부
      된 “2013년 12월분 급여(상여) 명세서”의 기재에 의하면 2,073,750원은 근태
      공제항목으로 450,000원이 아닌 412,880원을 공제하여 계산된 금액으로 보인다
(주2) 피고인은 수사과정에서부터 원심에 이르기까지 미지급 퇴직금의 액수가 
      4,411,590원이라고 주장하여 왔었는데(수사기록 1권 150, 151면 및 공판기록 
      34면 등), 항소이유서에서는 위 금액에서 2014. 1.분에 대한 세금 190,250원,
      2014. 2.분에 대한 세금 167,850원, 합계 358,100원을 공제한 4,053,490원(= 
      4,411,590원 -358,100원)이라고 주장한다.
(주3) 벌금형을 선택한 이상 양형기준은 적용되지 아니한다.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관리자

등록일2016-04-18

조회수2,066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정당하게 개시된 쟁의기간에 해고를 의결한 것은 ‘쟁의 중 신분보장’ 및 ‘징계위원회 ..

정당하게 개시된 쟁의기간에 해고를 의결한 것은 ‘쟁의 중 신분보장’ 및 ‘징계위원회 구성’ 규정을 위반한 하자가 있고, 징계재량권의 일탈·남용 하자도 있어 무효☞ 대전고법 2016-7-21 선고 2015나11661 판결☞ 사건명 : 해고무효확인 등☞ 원심판결 : 판시사항재판요지당사자【원고, 항소인】 이○○ 외 10명【피고,..

Date 2016.08.29  by 관리자

기간제근로자임을 이유로 비교대상근로자에 비하여 일부 수당을 지급하지 아니한 것은 합..

기간제근로자임을 이유로 비교대상근로자에 비하여 일부 수당을 지급하지 아니한 것은 합리적 이유 없는 차별에 해당☞ 서울행법 2016-7-15 선고 2016구합51450 판결☞ 사건명 : 차별시정재심판정 취소의 소☞ 원심판결 : 판시사항재판요지당사자【원 고】 대한민국【피 고】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피고보조참가인】 김○○【변론종결】..

Date 2016.08.29  by 관리자

정리해고를 회피하기 위한 노력을 다하였다고 보기 어렵고, 근로자대표와 해고회피 방안..

정리해고를 회피하기 위한 노력을 다하였다고 보기 어렵고, 근로자대표와 해고회피 방안과 해고 대상자 선정기준에 관하여 성실하게 협의하였다고 보기 어렵다며 원고 패소한 원심 판결을 확정☞ 대법원 2016-3-24 선고 2015두56144 판결☞ 사건명 :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원심판결 : 서울고등법원 2015. 10. 16. 선고 2015누38483 판결   판시사항재판요지당사자【원고, 상..

Date 2016.08.22  by 관리자

공무원이 당연퇴직하여 발생한 공무원연금법상의 퇴직급여지급청구권은 당연퇴직한 때로..

공무원이 당연퇴직하여 발생한 공무원연금법상의 퇴직급여지급청구권은 당연퇴직한 때로부터 그 소멸시효가 진행한다고 본 사례☞ 서울행법 2016-4-21 선고 2015구합76490 판결☞ 사건명 : 퇴직급여 부지급처분 취소 등☞ 원심판결 : 판시사항재판요지구 지방공무원법(2008. 12. 31. 법률 제930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1조에 규정되어 있는 당연퇴직 제도는, 같은 법 제31조 각 ..

Date 2016.08.22  by 관리자

석재연마공으로 근무 중 진폐증에 대해 업무상 재해로 인정받고 오랜 기간 입원요양 중 사..

석재연마공으로 근무 중 진폐증에 대해 업무상 재해로 인정받고 오랜 기간 입원요양 중 사망한 경우 진폐증과의 인과관계가 인정되어 업무상 재해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사례☞ 울산지법 2016-5-26 선고 2015구합6075 판결☞ 사건명 : 유족보상금및장의비부지급처분취소☞ 원심판결 : 판시사항재판요지망인은 석재 및 석공품제조업체에서 석재연마공으로 근무 중 1997. 5. 24. 피..

Date 2016.08.22  by 관리자

실적이 저조하거나 장기근속자를 퇴직시키기 위해 별도의 부서를 만들어 행한 전직명령은..

실적이 저조하거나 장기근속자를 퇴직시키기 위해 별도의 부서를 만들어 행한 전직명령은 무효☞ 서울고법 2016-7-13 선고 2015나2046698 판결☞ 사건명 : 전직무효확인등☞ 원심판결 : 판시사항재판요지근로자에 대한 전보나 전직은 원칙적으로 인사권자인 사용자의 권한에 속하므로 업무상 필요한 범위 내에서는 상당한 재량을 인정하여야 할 것이지만, 그것이 근로기준법 ..

Date 2016.08.19  by 관리자

노조 설립 방해한 대학교 총장에 관하여 벌금형을 확정한 사건

노조 설립 방해한 대학교 총장에 관하여 벌금형을 확정한 사건☞ 대법원 2016-3-24 선고 2015도15146 판결☞ 사건명 :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위반☞ 원심판결 : 제주지법 2015. 9. 10. 선고 2015노197 판결   판시사항재판요지학내 노조 설립에 관해 `노조를 만들지 말라`고 전화를 하고, 직원 회의에서 노조 설립에 관해 압박을 한 대학교 총장에 관하여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

Date 2016.08.19  by 관리자

업무상 재해로 왼팔을 잃고 외상후 스트레스성 장애까지 얻게 된 외국인 근로자의 아내에 ..

업무상 재해로 왼팔을 잃고 외상후 스트레스성 장애까지 얻게 된 외국인 근로자의 아내에 대한 체류자격 변경불허가처분은 재량권 일탈·남용으로 위법☞ 대법원 2016-7-14 선고 2015두48846 판결☞ 사건명 : 체류기간연장등불허가처분취소☞ 원심판결 : 서울고등법원 2015. 5. 22. 선고 2014누66986 판결 판시사항재판요지파키스탄 국적의 원고(처)가 단기방문(C-3) 자격으로 입국한 ..

Date 2016.08.19  by 관리자

산재보험법에 의한 부당이득금 징수처분의 상대방이 되는 ‘보험가입자’의 개념을 다투..

산재보험법에 의한 부당이득금 징수처분의 상대방이 되는 ‘보험가입자’의 개념을 다투는 사건☞ 대법원 2016-7-27 선고 2016두36079 판결☞ 사건명 : 부당이득금징수처분취소☞ 원심판결 : 서울고등법원 2016. 3. 9. 선고 2015누38964 판결 판시사항산재보험법 제84조 제2항에 의한 부당이득금 징수처분의 상대방이 되는 ‘보험가입자’란 재해근로자의 진정한 사업주로서 재해 ..

Date 2016.08.08  by 관리자

부당노동행위를 한 대표이사에게 징역 10월을 선고하고 법정구속한 사례

부당노동행위를 한 대표이사에게 징역 10월을 선고하고 법정구속한 사례☞ 대전지법 천안지원 2016-7-15 선고 2015고단2056 판결☞ 사건명 :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위반☞ 원심판결 :판시사항재판요지당사자【피고인】 1. 박○○, 갑을상사 부회장2. 권○○, 회사원3. 김○○, 회사원4. 김○○, 여행사 운영【검사】 이○○(기소), 김○○(공판)주문피고인 박○○에 대..

Date 2016.08.08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