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상담전화

031-913-9697

업무시간:
평일 오전 9:00 ~ 오후 6:00

FAX 031-913-9698

무료상담신청

- -
  

[자세히보기]

취업규칙에 의거한 임원회의 소집절차를 거치지 않고 근로계약 종료통보를 한 것은 부당해고

취업규칙에 의거한 임원회의 소집절차를 거치지 않고 근로계약 종료통보를 한 것은 부당해고
☞ 공포 : 서울행법  2015-12-3  선고  2015구합52395  판결
☞ 사건이름 :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 원심판결 :
판시사항
재판요지
당사자
【원 고】 A
【피 고】 중앙노동위원회위원장
【피고보조참가인】 유한회사 B
【변론종결】 2015. 10. 1.
주문
1. 중앙노동위원회가 2014. 12. 16. 원고와 피고보조참가인 사이의 2014부해873호 부당해고구제 재심신청 사건에 관하여 한 재심판정을 취소한다.
2. 소송비용 중 보조참가로 인한 부분은 피고보조참가인이 부담하고, 나머지 부분 중 90%는 피고보조참가인이 부담하고 10%는 피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
주문 제1항과 같다.
이유
1. 재심판정의 경위

가. 피고보조참가인(이하 ‘참가인’이라 한다)은 상시 35명의 근로자를 사용하여 토목건축공사업 등을 하는 회사이다. 원고는 2010년 4월경 참가인 회사에 입사하여 근무하였다.

나. 참가인은 2014. 1. 24. 원고에게 2014. 2. 28.자로 근로계약을 종료한다고 통보하였다(이하 ‘이 사건 통보’라 한다).

다. 원고는 2014. 5. 28. 이 사건 통보가 부당해고에 해당한다고 주장하며 전북지방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하였는데, 전북지방노동위원회는 2014. 7. 21. 원고와 참가인의 합의해지로 근로계약이 종료되었으므로 이 사건 통보가 부당해고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원고의 구제신청을 기각하였다.

라. 원고는 위 초심판정에 불복하여 2014. 8. 29. 중앙노동위원회에 재심을 신청하였는데, 중앙노동위원회는 2014. 12. 16. 위 초심판정과 같은 이유로 원고의 재심신청을 기각하였다(이하 ‘이 사건 재심판정’이라 한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2호증, 을나 제10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이 사건 재심판정의 적법 여부

가. 당사자들의 주장

1) 원고의 주장
(1) 원고는 C에게 퇴사와 관련한 일체의 권한을 위임하였다가 그 위임을 철회하였고 2014. 2. 25. 참가인의 인사관리책임자인 전무이사 D에게 C에 대한 위임을 철회하였다고 통지하였다. 따라서 원고를 대리할 권한이 없는 C가 2014. 3. 6. 참가인과 원고가 2014. 2. 28.자로 퇴사하기로 합의한 것은 무권대리행위로서 무효이다.
(2) 원고는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이다. 설령 원고가 기간제 근로자라고 하더라도 근로계약 갱신에 대한 정당한 기대권이 있다.
(3) 참가인의 취업규칙(이하 ‘취업규칙’이라 한다) 제32조에서 참가인이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임원회의를 소집하여야 하는데 참가인은 원고를 해고하기 전에 위와 같은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사건 통보는 절차상 하자가 있다.

2) 피고 및 참가인의 주장
(1) 원고가 C에게 자신의 퇴사와 관련한 일체의 권한을 위임한다는 내용의 위임장과 위임각서를 작성해 준 것은 참가인에게 사직의 의사표시를 한 것이므로 원고는 근로계약 종료에 확정적으로 동의하였고 다만 참가인과 퇴직조건에 관해 의견 대립이 있었을 뿐이다. 또한 원고는 C에게 퇴사와 관련한 일체의 권한을 위임하였고 참가인은 2014. 3. 6. 원고를 대리할 권한이 있는 C와 원고가 2014. 2. 28.자로 퇴사하기로 합의하여 원고와 참가인 사이의 근로계약이 합의해지로 종료되었다. 원고가 2014. 2. 25. D에게 C에 대한 위임을 철회하였다는 취지의 문자메시지를 보냈으나 D은 위 문자메시지를 확인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설령 D이 위 문자메시지를 확인했더라도 D이 참가인을 대리할 권한이 없을 뿐더러 위 문자메시지 내용을 참가인의 대표이사에게 알렸다고 볼 증거도 없으므로 원고와 참가인 사이에 원고의 C에 대한 위임이 철회되었다고 볼 수 없다.
(2) 원고는 참가인과 1년 단위로 계약기간을 갱신하기로 약정하였으므로 기간제 근로자이고 2014. 2. 28. 계약기간이 만료하여 근로계약이 종료되었다.
(3) 이 사건 통지가 해고라고 하더라도 원고가 참가인에게 수억 원 상당의 부당한 이익을 요구하고 제대로 출근하지 않았으며 참가인의 인사명령에 복종하지 않는 등 성실의무를 위반하였으므로 해고사유가 존재하고 참가인은 근로기준법상 해고절차를 거쳤다.

나. 관련 규정
별지 기재와 같다.

다. 판단

1) 원고와 참가인 사이의 근로계약이 합의해지되었는지 여부
갑 제22호증, 갑 제23호증, 갑 제24호증의 1, 2, 갑 제33호증, 갑 제47호증, 을나 제3호증, 을나 제6호증의1, 2, 을나 제11호증의 각 기재 및 변론 전체의 취지로부터 알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사정들을 고려해 보면, 원고와 참가인 사이의 근로계약이 합의해지되었다고 볼 수 없다.
가) 원고는 2013. 12. 2. C에게 자신의 퇴사와 관련한 일체의 권한을 위임하면서 그와 같은 내용이 기재된 위임장을 C에게 작성해 주었고(을나 제3호증), 2014.1.10. 자신의 퇴사, 자신이 참가인에게서 빌린 6,000만 원의 정산, 자신의 공적에 대한 보상 등과 관련한 사항에 관해 C를 대리인으로 지정하고 그 처리를 위임한다는 내용의 위임각서와 원고의 인감증명서를 C에게 건네주었다(을나 제6호증의1, 2). 그런데 원고는 2014. 2. 25. 참가인의 전무이사 D에게 ‘자신의 거취와 관련하여 C와 협의하지 말기를 바랍니다.’라는 문자메시지를 보냈다(갑 제33호증). 그 후 참가인은 2014.3.6. C와 ‘원고가 2014. 2. 28.자로 퇴사하기로 하고 원고가 참가인에게 공적에 대한 보상을 주장하지 않으며 원고가 참가인에게서 빌린 6,000만 원은 원고의 퇴직금, 잔여 급여와 위로금으로 상계처리한다.’라는 내용의 합의를 하였다(을나 제11호증).
나) 원고가 C에게 자신의 퇴사와 관련한 일체의 권한을 위임한다는 내용의 위임장과 자신의 퇴사, 자신이 참가인에게서 빌린 6,000만 원의 정산, 자신의 공적에 대한 보상 등과 관련한 사항에 관해 C를 대리인으로 지정하고 그 처리를 위임한다는 내용의 위임각서를 작성해 준 것은 위임장과 위임각서의 내용에 비추어 볼 때 원고가 참가인과 자신의 차용금, 자신의 공적에 대한 보상 등에 관하여 원만히 합의하면 퇴사하겠다는 조건부 사직의 의사표시라고 봄이 타당하다. 따라서 원고가 C에게 위와 같은 위임장과 위임각서를 작성해 주었다는 사정만으로는 원고가 확정적으로 근로계약 종료에 동의하였다고 볼 수 없다.
다) 참가인은 D이 원고의 위 2014. 2. 25.자 문자메시지를 확인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① D이 소지하고 있던 스마트폰인 ‘갤럭시노트 1’은 D이 특정한 상대방과 사이에 주고받은 문자메시지가 시간 순서대로 표시되는 점(갑 제47호증), ② D은 2014. 2. 28. 원고에게 ‘사장님! 부재중 전화 이제야 봤네요. 손님 미팅중이라 나중에 전화드리겠습니다. 안녕히 계세요.’라는 문자메시지를 보냈는데(갑 제33호증), 위와 같은 문자메시지 표시 방식을 고려할 때 그 당시 D은 원고의 위 2014. 2. 25.자 문자메시지를 충분히 확인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D은 늦어도 2014. 2. 28. 원고의 위 2014. 2. 25.자 문자메시지를 확인하였다고 봄이 타당하다.
라) ① D은 참가인의 전무이사로서(D은 참가인의 법인등기부에 이사로 등재되어 있다) 참가인에게서 위임받은 범위 내에서 업무를 집행할 권한이 있는 점, ② D은 2013. 10. 11. 원고를 참가인의 서울사무소에서 본사로 전보하는 인사발령을 자신의 전결로 처리하였고(갑 제22호증), 원고는 D에게 2013. 10. 11.자 인사명령이 부당하다는 취지의 문서를 보낸 점(갑 제23호증), ③ 참가인은 2013. 10. 21.과 2013. 10. 23. 원고에게 2013. 10. 11.자 인사명령을 이행하는 문서를 보냈는데 D은 참가인의 대표이사 직전에 위 문서들을 결재한 점(갑 제24호증의1, 2), ④ 원고는 참가인 회사에서 약 3년 10개월간 근무하여 참가인 회사 임직원의 업무 내용을 잘 알고 있었을 것으로 보이고, 당시 참가인의 대표이사였던 E(참가인의 현재 대표이사인 F의 아버지이다)과 관계가 좋지 않아 D을 퇴사 등에 관한 협의 상대방으로 정한 점 등에 비추어 보면, D은 참가인의 직원에 대한 인사관리 업무를 맡고 있는 자로서 C에 대한 위임을 철회한다는 취지인 원고의 위 2014. 2. 25.자 문자메시지를 수령할 권한이 있다고 봄이 타당하다.
라) 따라서 원고가 2014. 2. 25. D에게 C에 대한 위임을 철회한다는 취지인 문자메시지를 보냄으로써 D의 대리권은 참가인과의 관계에서도 적법하게 소멸하였으므로 그 후 참가인이 2014. 3. 6. C와 원고가 2014. 2. 28.자로 퇴사하기로 합의한 것은 무권대리행위로서 무효이다.

2) 원고가 기간제 근로자인지 여부
원고가 참가인과 1년 단위로 계약기간을 갱신하기로 약정하였음을 인정할 증거가 없다. 오히려 을나 제14호증의1의 기재와 변론 전체의 취지로부터 알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사정들, 즉 ① 원고는 2010년 4월경 참가인 회사에 입사하면서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은 채 약 3년 10개월간 계속하여 근무한 점, ② 취업규칙 제3조에서 ‘신규 채용된 자는 채용한 월을 포함하여 3개월간 수급기간으로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을 뿐 근로계약기간을 제한하고 있지 않은 점, ③ 원고가 참가인 회사에 입사한 때부터 이 사건 통보 전까지 근로계약을 갱신하는 절차를 밟았음을 인정할 증거가 없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원고는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에 해당한다고 봄이 타당하다.

3) 이 사건 통보의 적법 여부
위 2)항에 본 바와 같이 원고는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에 해당하고, 이 사건 통보는 참가인이 원고의 의사와 관계없이 일방적으로 근로관계를 종료시키는 것이므로 성질상 해고에 해당한다.
그런데 취업규칙 제32조에 의하면 참가인이 근로자를 징계하기 위해서는 임원회의를 소집하여야 한다. 그러나 참가인이 이 사건 통보를 하기 전에 임원회의를 소집하였다고 볼 증거가 없으므로 이 사건 통보는 취업규칙 제32조를 위반한 절차상 하자가 있다.

4) 소결론
따라서 이 사건 통보는 부당해고에 해당하므로 이와 전제가 다른 이 사건 재심판정은 위법하다.

3. 결론

그렇다면 원고의 이 사건 청구는 이유 있어 인용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관리자

등록일2016-04-06

조회수1,849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근무성적 및 근무능력부족으로 인한 해고의 정당성 관련 판례(대판 2018다253680)

근무성적 및 근무능력부족으로 인한 해고의 정당성 관련 판례(대판 2018다253680)  사건번호 : 대법 2018다253680, 선고일자 : 2021-02-25* 대법원 제3부 판결 * 사 건 : 2018다253680 해고무효확인 * 원고, 상고인 : 원고 1 외 1인 * 피고, 피상고인 : 한국○○해양 주식회사(변경전 상호: ○○중공업 주식회사)의 소송수계인 ○○중공업 주식회사 * 원심판결 : 부산고..

Date 2021.03.16  by 관리자

거래처 담당자를 만나 업무협의와 접대를 위한 회식을 하고 대리운전기사를 기다리던 중 ..

☞ 대법원  2017-3-30  선고  2016두31272  판결☞ 사건명 : 요양급여부지급처분취소☞ 원심판결 : 서울고등법원 2015. 12. 18. 선고 2015누49421 판결 판시사항 재판요지 회사의 업무총괄이사인 원고가 거래처 담당자를 만나 막걸리집, 호프집, 노래방 순서로 옮겨가며 회식을 하고 거래처 담당자의 대리운전기사를 기다리던 ..

Date 2017.04.11  by 관리자

휘트니스센터에서 근무하는 크로스핏 외부강사를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인정한 최초의 ..

☞ 부산지법  2017-2-21  선고  2016고단825  판결☞ 사건명 :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위반☞ 원심판결 : 판시사항 재판요지 당사자 【피고인】 A【검 사】 최○○(기소), 장○○(공판) 주문 피고인을 벌금 1,000,000원에 처한다.피고인이 위 벌금을 납입하지 아니하는 경우 100,000원을..

Date 2017.03.31  by 관리자

방문운동사의 기간제법 적용 이전의 근로기간에 대한 갱신기대권을 인정한 사례

☞ 대전고법  2016-9-8  선고  2016누10884  판결☞ 사건명 :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원심판결 : 판시사항 재판요지 당사자 【원고, 항소인】 부산광역시 금정구【피고, 피항소인】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피고보조참가인】 김○○【제1심판결】 대전지방법원 2016. 4. 21. 선고 2015구합105635 판..

Date 2017.03.13  by 관리자

판매용역계약을 체결하고 실적에 따라 수수료를 받는 백화점 위탁판매원도 근로자에 해당

☞ 대법원  2017-1-25  선고  2015다59146  판결☞ 사건명 : 퇴직금등☞ 원심판결 : 서울고법 2015. 9. 4. 선고 2014나49083 판결 판시사항 [1]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기준[2] 甲 주식회사와 판매용역계약을 체결하고 백화점에 파견되어 판매원으로 근무하던 乙 등이 甲 회사를 상대로 퇴직금 지급을 구한 사안에서, 乙 등이 체..

Date 2017.03.08  by 관리자

취업규칙 변경 절차를 지키지 않고 도입한 임금피크제는 무효

☞ 서울고법  2017-1-13  선고  2015나2049413  판결☞ 사건명 : 임금☞ 원심판결 : 판시사항 재판요지 당사자 【원고, 피항소인】 1.최○○ 2.박○○ 3.김○○ 【피고, 항소인】 주식회사 ○○ 【제1심판결】 서울중앙지방법원 2015. 8. 28. 선고 2014가합557402 판결 【변론종결】 2016. 11. 16. 주문 ..

Date 2017.02.20  by 관리자

사내하도급 근로자의 근로자성

(대법원 2016.6.23.선고 2016다13741 판결)   ≪사실관계≫   한전KPS는 전력설비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로, 2003년 이후부터 협력업체들에게 하도급 형식으로 업무를 수행하였다. 협력업체는 1999년부터 한전KPS 서울지사와 하도급계약을 체결해왔다. 협력업체 소속 근로자들은 정비지원업무로서 선로순시, 항공장애 등 점검 및 소모품 교체, 송전선로 불량애자검출 등을 맡고 ..

Date 2017.02.14  by 관리자

(대법원 2015.11.26.선고 2013다69705 판결) 전년도의 근무실적에 따라 지급되는 업적연봉의 통..

≪사실관계≫   한국○○은 월 기본급의 700% 및 전년도 인사평가 등급에 따라 결정된 인상분을 합한 금액을 해당 연도의 업적연봉으로 정하여 이를 12개월로 나누어 매월 지급했으며, 그 중 월 기본급의 700%는 전년도 인사평가 결과와 관계없이 고정된 금액이며, 나머지 인상분만 전년도 인사평가 등급에 의하여 A등급 100%, B등급 75%, C등급 50%, D등급 25%, E등급 0%로 결정되는 ..

Date 2017.02.08  by 관리자

(대법원 2016.2.18.선고 2012다62899 판결)소정근로를 제공하면 적어도 일정액 이상의 임금이 지..

≪사실관계≫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특별자치도 공공노동조합이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체결한 임금협약서와 제주특별자치도 무기계약 근로자 보수지침에 따르면 제주특별자치도가 매월 원고들에게 일정한 금액의 급식비와 교통보조비를 지급하되, 월 근무일수가 15일 이상인 경우에는 월정액 전액을 지급하고, 근무일수가 15일 미만인 경우에는 15일에 미달하는 1일마다 ..

Date 2017.02.06  by 관리자

한국GM 사내하도급 근로자가 파견법상 파견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사실관계≫   한국GM은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을 제조하는 회사로 사내협력업체와 도급계약을 체결하여 업무를 수행했다. 그러나 해당 도급계약은 실질상 근로자파견에 해당하며, 파견사업을 행하기 위해서는 노동부장관의 허가를 받도록 파견법이 규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허가를 받지 않았고, 파견근로자들을 제조업의 직접생산공정에 투입할 수 없음에도 ..

Date 2017.01.26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