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 대상으로 ‘전환형 시간선택제·남성육아휴직 수요조사(4.6~6.7)’를 실시한 결과, 30대 근로자를 중심으로 일·가정 양립 제도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환형 시간선택제, 30대 여성 근로자가 가장 원해
총 301,533명이 조사에 참여한 가운데, 31,659명(10.5%)이 3년 이내 전환형 시간선택제 활용을 원하였고, 이 중 30대의 비중(50.9%)이 가장 높았다.
30대 여성이 29.6%(9,361명)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30대 남성이 21.3%(6,735명), 40대 남성이 11.9%(3,763명)로 그 뒤를 이었다.
성별·연령대별로 3년 이내 전환형 시간선택제를 희망하는 비율은 30대 여성(18.8%), 30대 남성(13.7%), 20대 여성(10.9%), 40대 여성(8.8%), 20대 남성(7.5%) 순으로 나타났다.
년 내 의향이 있는 근로자 중 39.4%는 20% 이상 임금 감소 감수
특히, 3년 이내 전환형 시간선택제 활용을 원하는 31,659명 중 39.4%(12,473명)은 20% 이상 임금이 줄어드는 것을 감수하고도 활용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전환형 수요가 많은 30대 여성의 경우, 3년 내 활용 의향이 있는 30대 여성(9,361명)의 45.6%(4,269명)가 임금이 20% 이상 감소하더라도 활용을 원하는 등 실질적인 수요*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육아를 이유로, 6개월~1년 미만 기간 동안, 2시간 단축근무 희망
활용 사유로는 ‘육아 또는 보육’(51.3%), ‘학업 및 자기계발’(14.0%),‘임신’(7.4%),‘건강’(6.8%) 등의 순이었다.
단축하고 싶은 근무시간은 2시간 이하가 52.5%로 가장 많았으며, 단축 기간은 6개월~1년 미만이 38.0%로 가장 많았다.
'사내눈치법', '업무공백 우려', '임금감소' 이유로 활용이 어려움
전환형 활용에 대한 장애요인으로는, 업무가 맞지않음(48.4%),임금감소(30.0%),동료 업무 과중(32.9%),인사상 불이익(20.5%),전일제 복귀 어려움(12.4%) 등 이른바 ‘사내눈치법’과 ‘업무공백 우려’ 등에 관련한 응답이 다수였다.(중복응답)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실제 활용 경험이 있는 근로자는 2,196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시간선택제 전환에 따른 업무공백에 대하여 인사담당자들은, 부서내·부서간 업무 조정(51.5%), 기간제 근로자 충원(27.3%), 정규직 충원(11.3%) 순으로 대응한다고 하였다.
초2 이하 자녀 둔 30대 남성의 11.3%는 '3년 내 육아휴직' 원해
이번에 함께 조사된 남성 육아휴직의 경우,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둔 남성(44,957명)의 9.9%(4,464명)가 ‘3년 내 육아휴직 활용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30대 남성(25,763명)의 11.3%(2,909명)가 3년내 육아휴직을 희망한다고 밝히는 등 아빠 육아에 대한 30대의 수요가 높았다.
정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환형 시간선택제 및 남성 육아휴직 사용 지속 지원
공공부문 각 기관별로 전환형 시간선택제 활용계획을 수립·이행하고 실적을 점검하는 등 선도적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다.
대체인력의 원활한 충원을 위한 제도개선, ‘사내눈치법 타파’를 위한 인식개선 캠페인도 지속 추진한다.한편, 향후 여건이 되면 전환형 시간선택제를 활용하고 싶다는 응답이 100,321명, 남성 육아휴직을 활용하고 싶다는 응답이 6,428명에 이르는 등 일·가정 양립 잠재수요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부 나영돈 청년여성고용정책관은 “전환형 시간선택제, 남성 육아휴직 등의 제도는 일부 근로자를 위해 기업이 제공하는 특혜가 아니라, 기관·기업의 생존과 성장에도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제도 활용을 원하는 근로자들이 눈치보지 않고 당당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문화를 확산시켜 일·가정 양립을 위해 꼭 필요한 제도로 정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발행처 : 고용노동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