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상담전화

031-913-9697

업무시간:
평일 오전 9:00 ~ 오후 6:00

FAX 031-913-9698

무료상담신청

- -
  

[자세히보기]

직장경력 1년차 때 '이직 바이러스 주의보'

직장경력 1년차 때 '이직 바이러스 주의보'
- 직장인 10명 중 8명, '이직 경험 있다'

 

이직문화가 보편화 되면서, 직장인들은 경력 1년차 때 첫 이직을 가장 많이 시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남녀 직장인 350명을 대상으로 ‘이직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 중 80.6%가 이직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9.4%는 아직까지 이직 경험이 한 번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력 년차 별로는 △1년차 미만 직장인들의 경우 54.0%가 이직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이 외에 △1년 이상~2년차 미만 73.6% △2년 이상~3년차 미만 84.2% △3년 이상~5년차 미만 88.2% △5년 이상~7년차 미만 92.7% 등의 순으로 직장 경력이 올라감에 따라 이직경험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 직장인이 85.7%로 여성 직장인 77.7%에 비해 이직을 시도하는 경향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 내 생에 첫 이직, 1년 차에 가장 많이 시도

한편, 이직 경험이 있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첫 이직 시기’에 대해 조사한 결과, △첫 직장 입사 후 1년차 정도라고 답한 비율이 31.6%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첫 직장 입사 후 2년차 정도도 22.0%로 많았다.

이 외에 △첫 직장 입사 후 6개월도 안되어서 이직을 했다는 응답이 16.3%였으며, △3년차 정도 11.7% △4년차, 5년차 정도가 각각 5.0% 등의 순이었다.

성별에 따라 첫 이직 시기가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여성 직장인들의 경우는 경력 1년차에 첫 이직을 했다는 응답이 34.5%로 남성 직장인 26.9%에 비해 7.8%P나 높았으며, 남성 직장인들은 첫 직장 입사 후 3년차 정도에 첫 이직을 한 케이스가 17.6%로 여성 직장인 8.0%에 비해 9.5%P나 높았다.

현재 근무하고 있는 기업형태별로는 대기업에 다니고 있는 직장인들 중에서는 아직까지 이직 경험이 없다는 응답이 26.5%로 타 기업들에 비해 많았으나, 반면 첫 이직 시기를 경력 6개월 미만 때, 빠르게 시도한 직장인들도 30.6%로 많았다.

이에 비해 중소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들의 경우는 경력 1년차(31.5%) 때 첫 이직을 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반면 현재 근무하고 있는 회사가 첫 직장이라는 응답은 16.5%로 낮았다. 상대적으로 경력직 채용이 많은 외국계 기업 근무 직장인들 중에서는 경력 3년차(45.5%)에 첫 이직을 한 경우가 많았으며, 이직 경험이 없다는 응답은 12.5%로 타 기업 중 가장 낮았다.

잡코리아 박상균 상무는 “신입사원 입사 후 1년 정도 되는 시점에서 많은 직장인들이 이직을 고민하게 된다”면서 “하지만 주위 상황들로 인한 성급한 이직 판단은 장기적인 커리어에 불안정함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업무 능력이 최고조에 올랐다고 생각할 때가 적절한 이직 타이밍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발행처 : 잡코리아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관리자

등록일2016-08-22

조회수3,771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중앙노동위원회 부당해고 구제 재심신청 사건에서 재심신청..

여상철 대표 공인노무사는 중앙노동위원회 부당해고 구제 재심신청 사건에서 재심 신청인의 대리인으로 참여하여 00지방노동위원회가 행한 판정을 취소하고 재심신청을 인용한다는 재심판정을 2018년 1월 18일 받아냈다.

Date 2018.03.29  by 관리자

[’21년 산업안전보건감독 종합계획] 발표

「’21년 산업안전보건감독 종합계획」 발표①(추락·끼임) 건설·제조현장 ‘3대 핵심 안전조치’ 확행 ②(위험의 외주화) 본사 및 원청의 안전보건 책임관리 강화 ③(화재·폭발) 적시·점검을 통한 대형사고 사전예방    □ 정부는 2월 9일(화) 「’21년도 산업안전보건감독 종합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붙임 1. ‘21년도 산업안전보건감독 종합계획 브리핑 자료 ..

Date 2021.03.16  by 관리자

노무제공자 산재보험제도 안내

2023년 7월 1일부터 전 산재보험법상 특고 "전속성" 요건을 폐지하고 "특고'와 "플랫폼" 종사자를 "노무제공자"로 재정의하여 현행 산재보험법 시행령에 열거된 직종과 추가 적용 확대 직종을 포함하여 총 18개 직종에 대하여 산재보험이 적용됩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첨부물 참고하세요...

Date 2023.06.26  by 관리자

소규모 사업장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지원 가이드

2024년 1월 27일부터는 '중대재해처벌등에 관한 법률'이 5인 이상 사업장으로 그 적용대상이 확대됩니다.중대재해처벌법은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 등의 안전보건관리체제 구축 의무를 중시하고 있습니다. 50인 이하 소규모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안전보건공단의 첨부한 안전보건관리체제 구축 가이드를 참고하면 좋겠습니다.  

Date 2023.06.26  by 관리자

고용노동부, 2023년 하반기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고용노동부 보도자료입니다.  2023년 하반기부터 달라지는 내용을 안내드립니다.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Date 2023.07.04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