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상담전화

031-913-9697

업무시간:
평일 오전 9:00 ~ 오후 6:00

FAX 031-913-9698

무료상담신청

- -
  

[자세히보기]

정당하게 개시된 쟁의기간에 해고를 의결한 것은 ‘쟁의 중 신분보장’ 및 ‘징계위원회 구성’ 규정을 위반한 하자가 있고, 징계재량권의 일탈·남용 하자도 있어 무효

정당하게 개시된 쟁의기간에 해고를 의결한 것은 쟁의 중 신분보장’ 및 징계위원회 구성’ 규정을 위반한 하자가 있고징계재량권의 일탈·남용 하자도 있어 무효

☞ 대전고법 2016-7-21 선고 201511661 판결

☞ 사건명 해고무효확인 등

☞ 원심판결 :

 

판시사항
재판요지
당사자
【원고, 항소인】 이○○ 외 10명
【피고, 피항소인】 ○○기업 주식회사
【제1심판결】 대전지방법원 천안지원 2015. 4. 24. 선고 2014가합1969 판결
【변론종결】 2016. 5. 3.
주문
1. 제1심판결을 취소한다. 
 피고가 2013. 10. 21. 원고들에게 한 해고는 모두 무효임을 확인한다.
2. 소송총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 및 항소취지】
주문 기재와 같다(항소장의 원고 표시 중 “4. 국○○”는 “4. 국△○”의 오기이다). 
이유

1. 기초 사실

가. 당사자 등의 관계
1) 피고는 각종 내연기관 부품제조 및 판매업 등을 영위하는 회사이다. 
2) 원고들은 피고의 아산공장이나 영동공장에 근무하는 근로자로 산업별 노동조합인 전국금속노동조합(이하 ‘금속노조’라고 한다) 충남지부의 ○○기업 아산지회 또는 충북지부 ○○기업 영동지회의 조합원이다. 원고 이○○, 정○○을 제외한 나머지 원고들은 2011. 3.경 아래와 같이 아산지회 또는 영동지회의 임원으로 활동하였다(이하 위 두 지회를 합하여 ‘○○기업지회’라 한다). (아래표 생략)

나. 주간연속 2교대제 도입 관련 특별교섭과 쟁의행위
1) ○○기업지회와 피고는 2010. 1. 13. ‘2009년 지회 임금 및 교대제 개선 합의서’에 따른 합의를 하였다. 위 합의서에는 ‘경제상황 및 제반 조건들을 감안하여 2011. 1. 1. 주간연속 2교대제 실행을 목표로 추진한다. 피고는 주간연속 2교대 시행시 시급제를 월급제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추진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2) ○○기업지회는 2010. 12. 23. 피고에게 위 합의서를 근거로 특별단체교섭을 요구하였고, 이에 따라 2011. 1. 18.부터 2011. 5. 4.까지 11차에 걸쳐 ‘주간연속 2교대제 도입 등’과 관련한 특별교섭이 진행되었으나 결국 결렬되었다. ○○기업지회는 2011. 5. 3. 충남지방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조정신청을 하였고, 위 위원회는 2011. 5. 13. 노·사간 현격한 입장 차이를 이유로 조정안을 제시하지 아니하고 조정중지결정을 하였다.
3) 위와 같은 교섭과정에서 ○○기업지회는 2011. 3. 25. 당일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자 ‘주간연속 2교대제 및 월급제 도입’이라는 주장을 관철할 목적으로 조합원들의 찬반투표 없이 소속 조합원들에게 잔업 및 특근 거부 등을 지시하여 소속 조합원들이 불시에 조퇴하도록 하는 등 2011. 3. 25.부터 2011. 5. 17.경까지 아래와 같이 쟁의행위(이하 ‘제1쟁의행위’라고 한다)를 하였다. 
 가) 아산지회 확대간부 결의사항(잔업·특근 거부)에 따라 영동지회 소속 조합원들이 2011. 3. 26. 및 2011. 3. 27. 집단으로 주말 특근 거부 
 나) 검사과 조합원들이 2011. 3. 28. 10:10부터 12:30까지 근로제공 거부
 다) 조합원들이 2011. 4. 13. 업무시간 중 1시간 동안 과별로 만국기를 제작하면서 근로제공 거부
 라) 조합원들이 2011. 4. 19. 13:30경부터 16:00경까지 과별로 현수막을 제작하면서 근로제공 거부 
 마) ○○기업지회는 2011. 4. 26.부터 투쟁지침 1호 공고에 따라 볼펜 안 잡기 및 전산입력 거부의 방법으로 근로제공 거부 
 바) 확대간부들은 2011. 4. 29. 10:30부터 17:30까지 집단으로 조퇴
 사) 조합원들이 2011. 5. 1. 야간특근업무 거부. 이에 따라 피고의 관리직 직원들이 2011. 5. 2. 08:30부터 09:20까지 생산 업무에 투입되었으나, 원고 김○○과 엄○○ 등의 방해로 이를 중단하고 철수
 아) 조합원들이 2011. 5. 3. 투쟁지침 2호 공고에 따라 집단으로 조퇴. 이에 따라 피고의 관리직 직원들이 생산 업무를 수행하자 ○○기업지회 임원들이 이를 방해하여 생산1, 2과의 CTB장비와 랩핑공정 스탠드가 비상 정지되기도 함 
 자) 2011. 5. 4. 투쟁지침 3호 공고에 따라 09:00부터 근로제공을 거부하고 14:00부터 항의집회
 차) 2011. 5. 6. 투쟁지침 3호 공고에 따라 각 과별 보물찾기를 진행하며 태업 
 카) 2011. 5. 9. 투쟁지침 4호 공고에 따라 같은 날 08:30부터 12:30까지 태업 
 타) 2011. 5. 16. 09:30부터 11:20까지 태업, 같은 날 11:20부터 14:30까지 근로제공 거부, 같은 날 22:30부터 태업
 파) 2011. 5. 17. 각 과·부서별 무단 외출, 조퇴 및 태업
4) ○○기업지회는 2011. 5. 17. 22:00부터 2011. 5. 18. 10:30까지 소속 조합원들을 상대로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실시하였고, 피고의 대구공장 및 남동공장에서 근무하는 27명을 포함한 소속 조합원 566명 중 539명이 투표하여 약 78. 2%에 해당하는 422명의 찬성으로 쟁의행위를 결의하였다.
5) ○○기업지회는 조합원들의 결의에 따라 2011. 5. 18. 13:30부터 15:30까지 부분파업을 하였고, 피고의 관리직 직원들이 부품생산을 하였다는 이유로 같은 날 17:30까지 파업을 연장하였다.

다. 피고의 직장폐쇄와 ○○기업지회의 공장 점거 및 폭력사태의 발생 등
1) 피고는 2011. 5. 18. 18:00 관할 행정기관에 아산공장의 직장폐쇄를 신고하고 같은 날 20:00부터 직장폐쇄를 하였고, 2011. 5. 23.부터 영동공장에 대하여도 직장폐쇄를 하였다. 피고는 일용 경비직원 등으로 하여금 ○○기업지회 조합원들의 공장출입을 저지하도록 하고, ○○기업지회에 가입하지 않은 관리직 직원들을 생산라인에 투입하여 자동차엔진부품 생산을 계속하였다. 
2) 직장폐쇄 후 벌어진 공장 점거, 출근투쟁 등 쟁의행위(이하 ‘제2쟁의행위’라고 한다)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가) 아산지회 소속 조합원 200여 명은 2011. 5. 18. 22:00경 피고의 비조합원 및 일용 경비직원들을 밀치고 때리는 방법으로 저항하지 못하게 하여 아산공장 내부로 침입하고, 생산라인에서 작업 중이던 관리직 직원들을 위협하여 공장 밖으로 나가게 한 후 아산공장 전역을 점거하였다. 영동지회 소속 조합원 200여 명은 아산지회로부터 지원요청을 받고 2011. 5. 19. 아산공장 점거에 가담하였다. 
 나) ○○기업지회 조합원들은 2011. 5. 19. 02:00경 피고에 고용된 일용 경비직원 이□□가 타고 있던 차량을 둘러싼 후 쇠파이프로 유리창을 내려치고 돌멩이 등을 던졌다. 이□□는 위 상황에서 차량을 운전하다가 ○○기업지회 조합원 중 13명을 충격하여 상해를 입혔다.
 다) ○○기업지회는 아산공장 점거 후부터 2011. 5. 24. 16:00경까지 소속 조합원들로 하여금 경비를 서게 하면서 ○○기업지회에 소속되지 않은 피고 직원들의 공장출입을 저지하였다. 그러나 그 무렵 공권력이 투입되어 아산공장 점거는 종료되었다. 
 라) ○○기업지회 조합원들은 2011. 5. 27. 아산공장에 다시 진입하려다가 이를 막으려는 피고의 일용 경비직원들과 사이에 폭력사태가 발생하였고, 그 과정에서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마) ○○기업지회 조합원들은 2011. 5. 말경부터 2011. 7. 초경까지 피고에 복귀한 일부 조합원들 및 피고의 관리직 직원들에게 “다음은 당신들 차롑니다.”, “노조탈퇴와 그에 대한 각오는 하소.”, “내 손에 잡히면 죽는다.”와 같은 내용으로 보복을 암시하는 욕설, 협박 문자를 보내고, 실명을 기재하여 “○○기업 애완견들의 명복을 빕니다.”라는 현수막을 게시하기도 하였다. 
 바) 원고들을 포함한 ○○기업지회의 조합원 396명은 2011. 6. 14. 피고에게 일괄적으로 업무에 복귀하겠다고 통지하였으나(피고는 이를 거부하고 개별복귀를 주장하며 직장폐쇄를 유지함), 같은 날 15:50경 아산공장의 정문을 점거한 채 폐기물 운반차량, 납품차량 및 가스배달차량 등의 정문출입을 가로막는 등 쟁의행위를 계속하였다. 
 사) ○○기업지회 조합원 300여 명은 2011. 6. 16.부터 2011. 6. 22.까지 아산공장 정문 앞에서 출근투쟁을 한다는 명목으로 20~30명씩 교대로 연좌농성을 하면서 피고에게 직장폐쇄 철회와 조합원 전원의 일괄 업무복귀를 요구하는 방법으로 피고의 관리직 직원 등의 출입을 방해하고, 아산공장에서 생산한 부품의 반출 및 원자재 반입을 위한 차량출입을 방해하였다. 
 아) ○○기업지회 조합원 100여 명은 2011. 6. 22. 07:03경 아산공장 정문 앞에서 피고의 일용 경비직원들이 자동차엔진부품을 반출하기 위하여 그곳을 점거하던 조합원들을 밀어내자 쇠파이프, 나무 몽둥이 등을 이용하여 경비직원들을 폭행하고 아산공장 진입을 시도하면서 아산공장의 담장 등을 파손하고 차량 적재함에 싣고 있던 자동차엔진부품을 도로에 집어던지기도 하였다. 
  같은 날 20:30경부터 22:00경까지 ○○기업지회 조합원 300여 명과 민주노총 건설산업노조연맹 충남건설기계지부 소속 조합원 800여 명은 아산공장 진입로에 있는 굴다리 앞 도로에서 아산공장의 정문 앞으로 통과를 시도하면서 당일 오전의 폭력 충돌 상황을 이유로 우회할 것을 요구하던 경찰관들과 격렬한 몸싸움을 하였고, 그 과정에서 죽봉, 쇠파이프, 나무 몽둥이 등을 휘둘러 경찰관 108명이 상해를 입었다. 

라. 조정의 성립과 ○○기업지회 조합원들의 복귀
1) ○○기업지회 조합원 중 복귀하지 않고 있던 269명(원고들 포함)은 2011. 7. 22. 피고를 상대로 직장폐쇄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하였다. 위 사건에서 2011. 8. 5.부터 2011. 8. 12.까지 3차례의 심문기일이 진행된 후 2011. 8. 16. 아래와 같은 내용을 포함한 조정이 성립되었다(대전지방법원 천안지원 2011카합131호). (아래표 생략)
2) 피고는 원고들을 비롯하여 그때까지 복귀하지 않고 있던 ○○기업지회 조합원들에게 2011. 8. 22.부터의 임금을 지급하였고, 조합원들은 2011. 8. 31.까지 모두 복귀하였다.

마. 2011년 해고처분 및 그 취소
1) 피고는 2011. 10. 18. 및 2011. 11. 1. 원고들을 포함한 27명에 대하여 2011. 3. 25.부터 2011. 7. 31.까지의 단체협약 및 취업규칙 위반행위(불법파업, 명예훼손, 공장점거 등)를 이유로 징계해고처분(이하 ‘1차 해고처분’이라 한다)을 하였다. 
2) 1차 해고처분을 받은 조합원 27명은 피고를 상대로 1차 해고처분 무효 확인 등을 구하는 민사소송과 부당징계 등 구제 재심판정 취소를 구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하였다. 민사소송의 제1심법원은 2012. 11. 30., 행정소송의 제1심법원은 2013. 4. 12. 1차 해고처분이 절차상 단체협약에 위반하여 무효라는 취지의 판결을 각 선고하였다(대전지방법원 천안지원 2011가합6611호 및 서울행정법원 2012구합27183호). 
3) 피고는 위 각 제1심판결에 모두 항소하였으나, 항소심 계속 중인 2013. 5. 28. 1차 해고처분을 취소하고 해고된 27명 전원을 2013. 6.3.자로 복직시켰다.

바. ○○기업지회의 2011년 임금교섭 관련 쟁의행위 진행 및 재해고처분
1) 금속노조 충남지부는 2011. 4. 21.부터 피고와 2011년 임금협약과 관련하여 2011년 충남지부 단체교섭(지부 집단교섭)을 진행하였으나, 2011. 6. 17. 위 단체교섭의 결렬을 이유로 충남지방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을 하였고, 위 위원회는 2011. 6. 27. 조정종료결정을 하였다.
2) ○○기업지회는 2012. 3. 26. 조합원들의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거쳐 쟁의행위를 개시하여 현재까지 계속하고 있다(이하 2012. 3. 26. 이후의 쟁의행위를 ‘이 사건 쟁의행위’라고 한다). 
3) 피고는 2013. 10.경 1차 해고된 27명 중 퇴사 등으로 징계할 수 없는 인원을 제외한 24명에 대하여 재징계 절차를 진행하였다.
4) 피고는 원고들에게 ㈎ 2011. 3. 25.부터 2011. 5. 18.까지 ○○기업지회의 일련의 불법 쟁의행위(작업거부, 태업, 집단조퇴, 특근·잔업 거부, 근무시간 중 집회 및 간부회의, 전면파업, 업무방해 등)를 주도하거나 가담하였고, ㈏ 2011. 5. 18.부터 시작된 직장폐쇄 기간 중 같은 해 7. 31.까지 이루어진 ○○기업지회의 일련의 불법행위(공장 점거, 공장진입 시도, 공장 정문 봉쇄 등)를 주도하거나 가담하였다는 등의 아래와 같은 징계사유가 있고, 이는 징계양정표상 합계 100점 이상으로 해고사유에 해당한다며 원고들을 2013. 10. 21.자로 해고하였다(이하 ‘이 사건 해고’라 한다). 
[인정 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2, 8 ~ 23, 30, 45, 108 ~ 110호증, 을 제1 ~ 5, 20 ~ 26호증(가지번호 있는 것은 가지번호 포함, 이하 같다)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원고들 주장

가. 징계권의 부존재(징계권 포기, 일사부재리원칙 위반)
피고가 1차 해고처분을 스스로 취소함으로써 징계권을 포기하였음에도 1차 해고처분과 동일한 사유로 이 사건 해고를 단행한 것은 그 자체로 무효이거나, 일사부재리원칙에 어긋나 무효이다.

나. 징계사유의 부존재
피고는 원고들이 2011. 3. 25.부터 2011. 5. 18.까지 ○○기업지회의 일련의 불법 쟁의행위(작업거부, 태업, 집단조퇴, 특근·잔업 거부, 근무시간 중 집회 및 간부회의, 전면파업, 업무방해 등) 및 2011. 5. 18. 이후의 직장폐쇄 기간 중 같은 해 7. 31.까지의 일련의 불법행위(공장 점거, 공장진입 시도, 공장 정문 봉쇄 등)를 주도하거나 가담하였다고 포괄적으로 주장할 뿐이어서 징계사유를 특정하였다고 할 수 없고, 징계사유별로 입증할 만한 자료도 없다. 

다. 징계절차의 하자
1) 2011. 7. 15. 설립된 ○○기업 주식회사 노동조합(이하 ‘제2노조’라고 한다)의 설립은 무효이므로, 위 노조가 피고와 사이에 체결한 2012년 단체협약도 무효이다. 이 사건 해고에는 2010년 단체협약이 적용되어야 한다. 
 가) ‘쟁의 중 신분보장’ 규정 위반
  이 사건 해고는 2012. 3. 26. 조합원의 찬반투표를 거쳐 정당하게 개시된 이 사건 쟁의행위 기간 중에 이루어진 것으로 쟁의 중 일체의 징계를 금지하는 2010년 단체협약 제109조를 위반하여 무효이다. 
 나) 징계위원회 구성과 정족수 하자
  이 사건 해고는 사측 징계위원만으로 구성된 징계위원회에서 의결하였으므로 2010년 단체협약 제31조를 위반하여 무효이다. 
2) 서면통지의무 위반
이 사건 해고는 근로기준법 제27조에 정한 서면통지의무를 위반하여 무효이다. 

라. 징계양정의 하자
이 사건 해고는 2011. 8. 16. 조정내용과 1차 해고처분 취소의 취지에 반하고, 적정하고 합리적인 양정기준에 의하였다기보다는 주로 ○○기업지회 내에서의 원고들의 직책을 이유로 하는 등 징계재량권의 일탈·남용에 해당한다. 

3. 징계권 존부(징계권 포기, 일사부재리원칙 위반)에 관한 판단

가. 징계권 포기 여부
갑 제9호증의 기재에 의하면, 피고는 2013. 5. 28. 1차 해고처분을 취소하면서도 “재징계는 추후 진행한다.”고 명시한 사실이 인정된다. 
여기에 위 1. 기초 사실 및 을 제8호증의 각 기재에 의하여 인정되는 다음과 같은 사정, 즉 ① 당시 1차 해고처분 관련 민사소송과 행정소송에서 징계절차의 하자가 공통적으로 지적되었던 점, ② ○○기업지회와 피고는 2013. 4. 29.부터 2013. 5. 21.까지 노사 실무협의를 진행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기업지회는 1차 해고처분을 받은 조합원들을 복직시키고 재징계하지 말 것을 주장하였으나, 피고는 1차 해고처분을 받은 27명을 복직시키되 재징계할 것임을 일관되게 주장한 점, ③ 노사 갈등 종식을 위한 조치로는 치료비 지원, 고소·고발 취하 논의, 집중교섭 등도 있었던 점, ④ 원고들을 제외한 1차 해고처분을 받은 13명에 대하여는 재징계 절차에서 출근정지 처분이 이루어져 징계 수위가 감경된 점을 보태어 보면, 피고가 1차 해고처분을 취소함으로써 원고들에 대한 징계권을 모두 포기하였다고 할 수 없다. 원고들의 이 부분 주장은 이유 없다. 

나. 일사부재리원칙 위반 여부 
사용자의 징계처분은 근로자의 기업질서위반행위에 대한 제재로서의 벌이고, 자체의 재심절차에서도 징계처분을 취소할 수 있는 점에 비추어 보면, 사용자가 징계절차의 하자나, 징계사유의 인정, 징계양정의 적정 여부 등에 잘못이 있음을 스스로 인정한 때에는 노동위원회의 구제명령이나 법원의 무효 확인 판결을 기다릴 것 없이 스스로 징계처분을 취소할 수 있고, 나아가 새로이 적법한 징계처분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징계해고처분이 취소되면 해고무효 확인 판결이 확정된 것과 마찬가지로 소급하여 해고되지 아니한 것으로 보게 되므로, 그 후 새로이 같은 사유 또는 새로운 사유를 추가하여 다시 징계처분을 한다고 하여 일사부재리의 원칙이나 신의칙에 위배된다고 볼 수는 없고, 징계무효 확인 판결이 선고된 뒤에 징계처분을 취소한다고 하여 법원의 판결을 잠탈하는 것이라고 할 수도 없다(대법원 1994. 9. 30. 선고 93다26496 판결 등 참조).
이러한 법리와 앞서 살핀 사실관계를 종합하여 보면, 1차 해고처분 관련 민사소송과 행정소송에서의 각 제1심에서 ‘징계절차의 하자’가 있다는 취지의 판결이 선고된 뒤, 피고가 1차 해고처분을 취소하고 다시 동일한 사유를 들어 이 사건 해고에 나아갔다는 사정만으로는 일사부재리 원칙에 어긋난다고 보기 어렵다. 

4. 징계사유 존부에 관한 판단

가. 관련 규정
1) 단체협약(갑 제10호증, 을 제14호증)
 ○ 2010년 단체협약 제29조 (징계사유)
  회사는 다음 호에 해당하는 자를 징계위원회에 회부할 수 있다. 
  ⑵ 고의로 회사에 막대한 손해를 끼쳤을 때
  ⑷ 조합원 및 상사도 폭력, 폭행을 하였을 때
2) 취업규칙(1998. 12. 24.자, 갑 제1호증)
 ○ 제39조 (징계)
  사원이 다음 각 호에 해당할 때는 징계위원회에 회부하여 징계한다.
  ⑴ 사원의 본분에 배치되는 행위를 할 때
  ⑵ 직무상 의무를 이행하지 않거나 직무를 태만히 한 때
  ⑶ 회사의 위신을 손상하는 행위를 한 때
  ⑸ 고의 또는 과실로 중대 사고를 발생시키거나 회사에 손해를 끼친 때
  ⑹ 직무를 해태하여 재산상 중대 손실을 초래하였거나 회사질서를 문란케 한 때
  ⑺ 회사 생산 활동을 저해할 목적으로 법령 및 사규에 위반하여 선전, 선동, 허위사실 유포 등의 행위를 하였거나 이를 위한 사전준비를 하였을 때
  ⑾ 사규 및 취업규칙에서 정한 준수사항을 지키지 않거나 근로계약을 위반한 때
  ⑿ 전항 각 호에 준하는 부당 부실한 행위를 한 때

나. 판단
1) 근로자의 쟁의행위가 적법하기 위해서는, 첫째 그 주체가 단체교섭의 주체로 될 수 있는 자이어야 하고, 둘째 그 목적이 근로조건의 향상을 위한 노사간 자치적 교섭을 조성하는 데 있어야 하며, 셋째 사용자가 근로자의 근로조건 개선에 관한 구체적 요구에 대하여 단체교섭을 거부하였을 때 개시하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조합원의 찬성결정 등 법령이 규정한 절차를 거쳐야 하고, 넷째 그 수단과 방법이 사용자의 재산권과 조화를 이루어야 함은 물론 폭력 행사에 해당되지 아니하여야 한다는 여러 조건을 모두 구비하여야 한다(대법원 2009. 6. 23. 선고 2007두12859 판결 등 참조). 
2) 제1, 2쟁의행위의 정당성과 징계사유의 인정 여부
갑 제142, 143호증, 을 제29, 31, 32, 56, 59, 60, 61, 62, 64, 66호증의 각 기재와 영상 및 변론 전체의 취지에 의하여 인정되는 다음과 같은 사정, 즉 ① ○○기업지회에서 행한 2011. 3. 25.부터 2011. 5. 17.경까지의 조퇴, 특근 및 잔업 거부, 태업 등의 제1쟁의행위는 조합원의 찬반투표 등 법령에 정해진 절차를 거치지 않았는데 당시 적법한 절차를 따를 수 없는 객관적인 사정이 있었음을 인정할 만한 자료가 없는 점, ② 2011. 5. 18. 조합원들의 찬반투표 이전에 이루어진 위와 같은 제1쟁의행위의 양상과 경위에 비추어 피고가 아산공장에 대하여 2011. 5. 18. 당일 직장폐쇄를 단행한 것은 ○○기업지회의 쟁의행위가 더 강화될 것으로 예상한 피고의 방어수단으로 상당성이 있다고 보이는 점, ③ 피고의 직장폐쇄기간 중에 발생한 ○○기업지회의 아산공장 전면 점거 등 제2쟁의행위는 소극적으로 업무의 정상적 운영을 저해하는 데 그친 것이 아니라 폭력을 사용하거나 다중의 위력이나 물리적 강제력을 동원한 수준이어서 쟁의행위 수단의 정당한 한계를 벗어난 것으로 보이는 점에 원고들의 ○○기업지회 내의 직책 등을 더하여 보면, 제1, 2쟁의행위는 정당한 쟁의행위라고 보기 어렵고, 원고들에게는 아래 표 ‘징계사유’란 중 굵게 표시한 부분 기재와 같은 징계사유가 존재한다. 원고들의 주장은 아래 표 중 ‘증거 부족’으로 판단되는 징계사유에 한하여 이유 있고, 나머지 주장은 이유 없다.(아래표 생략)

5. 징계절차의 하자 존부에 관한 판단

가. 인정 사실 

1) 2011년 임금협약 관련 교섭과 이 사건 쟁의행위의 경위
 가) 금속노조는 2011. 2. 28.경 2011년 임금단체협약 중앙교섭 요구사항으로 ‘최저임금 인상, 복수노조 창구 단일화 저지, 비정규직의 단계적 정규직화 요구, 발암물질 금지, 노동시간 단축’을 확정하고 2011. 4. 6.부터 피고를 포함한 금속산업사용자협의회와 중앙교섭을 진행하였다. 
 나) 금속노조 충남지부는 2011. 4. 21.부터 2011년 임금협약과 관련하여 피고를 포함한 소속지회와 지부 집단교섭을 진행하였다(피고는 2011. 4. 21. 진행된 지부 집단교섭에만 참여함). 충남지부는 2011. 6. 17. 교섭의 결렬을 이유로 충남지방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을 하였고, 위 위원회는 2011. 6. 27. 조정종료결정을 하였다.
 다) 지부 집단교섭에 참여한 금속노조 충남지부 각 지회와 관련사업체 대표들은 2011. 7. 14. 2011년 임금협약 갱신안에 합의하여 지부 집단교섭은 마무리되었으나 피고는 위 합의에서 제외되었다. 
 라) 피고는 2011. 7. 27. 금속노조로부터 2011년도 임금교섭 요청을 받아 교섭창구 단일화절차를 거쳤으나, 제2노조가 피고에게 개별교섭을 요구하자 2011. 8. 18. 이에 동의하였다. 피고와 제2노조는 교섭을 진행하여 2011. 11. 28. 잠정 합의를 거쳐 2012. 2. 15.경 2011년 임금협약을 체결하였다. 
 마) 한편, 피고의 노사관계를 자문한 노무법인 ○○컨설팅(이하, ‘○○컨설팅’이라 한다)이 작성한 2011. 11. 4.자 경영정상화를 위한 전략회의 문건 등에는 ‘2011년 임금협상을 개별적으로 진행하면서 제2노조와의 임금협약은 신속하게 진행·체결하여 제2노조 조합원 확대의 기회로 삼되, ○○기업지회와의 교섭은 최소화하거나 최대한 장기화한다.’는 교섭방침이 기재되어 있다. 
 바) 금속노조는 2012. 1. 20.경 충남지방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신청을 하였다가 2012. 1. 26. 조정신청을 취하하였다. 
 사) ○○기업지회는 2012. 3. 26. 조합원들의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거쳐 이 사건 쟁의행위를 개시하여 현재까지 계속하고 있다. ○○기업지회는 2013. 10.경까지 쟁의행위로 파업, 태업, 간담회 개최, 현장 순회, 사업장 내외의 피켓시위 등을 하였으며, 집단행동 과정에서 피고 대표이사 구속을 요구하거나 제2노조를 비방하고, 피고 관리직 직원들에게 욕설을 하거나 책상을 발로 차는 등 폭력을 행사하기도 하였다. 
 아) 이 사건 해고 당시까지 2011년 임금협약과 관련한 교섭의 진행상황은 아래와 같다. 
  (1) ○○기업지회와 피고는 2011. 12. 2.부터 2013. 8. 29.경까지 65차에 걸쳐 임금교섭을 진행하였다. 
  (2) 2013. 8. 22. 64차 교섭에서 피고가 생산기여금으로 각 190만 원을 제안하였으나 ○○기업지회는 피고가 2011. 12.경 제2노조에 생산기여금으로 각 320만 원을 지급하기로 하였음에도 정당한 사유 없이 ○○기업지회를 차별한다고 주장하면서 약 300만 원을 요구하며 피고의 제안을 거부하였다{피고는 2014. 6. 3. 72차 임금교섭에서 최종안으로 ‘기본급 1,500원 인상(잠정 합의), 생산기여금 각 190만 원’을 제시하였고, 2015. 3. 10.경까지 입장의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고 있다}. 
  (3) ○○기업지회는 2013. 8. 29.경 8기 집행부 임원 선거를 이유로 교섭 중단을 요청하였고, 이에 임금교섭이 중단되었다. 피고는 선거가 끝나자 2013. 10. 14., 같은 해 11. 5., 같은 해 12. 2. 및 12. 19. 모두 4회에 걸쳐 교섭 재개를 요청하였다.
  (4) 피고는 2013. 9.경 징계절차를 개시하여 2013. 10. 10. 원고들에 대한 이 사건 해고를 의결하였는데, 원고들 중 이○훈, 국○호, 홍○인, 정○선은 ○○기업지회가 선거 후에 구성한 노측 교섭위원이었다. 
 자) 한편 2012. 9. 24.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산업현장 용역폭력 관련 청문회’를 통하여 피고와 ○○컨설팅 사이의 자문계약, 전략회의 문건 등이 다수 공개되면서 피고가 ○○기업지회의 조직력 약화 또는 제2노조 설립을 기획·주도하였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그 후 고용노동부는 2012. 10. 19.경 ○○컨설팅이 피고 등 기업체에 노동조합활동을 지배·개입하도록 하는 부당노동행위를 지도·상담하였다는 이유로 ○○컨설팅의 설립인가를 취소하였다. 
 차) ○○기업지회와 피고는 2013. 1. 15.경부터 대전지방고용노동청 천안지청의 주선으로 노사현안문제에 대한 특별교섭을 개시하였다. ○○기업지회는 2013. 1. 24.경 특별교섭 상견례에서 5대 선결과제로 ‘피고 최고경영자의 공개사과 및 책임자 처벌, 모든 징계 무효화 및 노조활동을 이유로 한 징계와 재징계 금지, 2011년 이후 일체의 손해배상청구 철회, 2011년 직장폐쇄 이후 발생한 부상자 치료 보장, 어용노조 설립에 대한 지배·개입 사실 인정’을, 특별교섭 주요 요구안으로 ‘악화된 근로조건 개선, 노동3권 침해 방지 등’을 제시하였고, 2013. 2.5.경부터 2013. 3. 27.경까지 특별교섭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기업지회가 결렬을 선언하였고, 그 후 대전지방고용노동청 천안지청 주재로 2013. 4. 18., 4. 23. 및 4. 29.에 노사대화를 진행한 후 2013. 4. 29.부터 2013. 5. 21.까지 노사 실무협의를 진행하였으나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업지회는 ‘해고자 복직, 부상자 치료, 손해배상청구 철회’의 3대 현안 등을 다음 특별교섭기일 이전에 해결하여야 한다고 요구하였다. 

2) 이 사건 해고 전후의 경과
 가) 피고가 2013. 5. 28. 1차 해고처분 대상자 27명에 대한 징계를 취소하자 그 중 24명이 복직하였다. 
 나) 피고는 2013. 9.3. 및 9. 4. 위 24명에 대하여 ‘징계혐의사실에 관한 2013. 9. 5. 및 9. 6.에 사실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는 공문을 보냈으나 위 기일에 아무도 출석하지 않았다. 
 다) 피고는 2013. 9. 3. 및 9. 4. ○○기업지회에 징계위원회 개최 일정, 징계대상자(원고들 포함됨), 징계사유 등을 통보하고 징계위원 선정을 요청하였으나 ○○기업지회는 징계위원을 선정하지 않았다. 이후 피고는 ‘재징계절차에는 2012년 단체협약 제113조(쟁의 중 신분보장)의 적용이 없다’면서 2013. 9. 10.부터 2013. 10. 8.경까지 6차례에 걸쳐 ○○기업지회에 징계위원을 선정해 달라고 요청하고, 불응할 경우 징계위원회 참여권한을 포기한 것으로 간주하겠다고 하였으나 ○○기업지회는 징계위원을 선정하지 않았다. 
 라) 피고는 2013. 9. 4. 내지 9. 6. 원고들에게 2013. 9. 13.부터 9. 24.에 열리는 징계위원회에 출석할 것을 통지하면서 징계사유를 구체적으로 적시하였으나 아무도 출석하지 않았다. 이후에도 피고는 원고들에게 2∼4차 징계위원회에 출석할 것을 통지하였으나 모두 출석하지 않았다. 
 마) 피고는 2013. 10.7. 및 10.8. 사측 징계위원만으로 개최된 제4차 징계위원회에서 심문회의를 종결하고, 2013. 10. 10. 징계의결회의를 진행한다는 것을 ○○기업지회에 통지하였다. 
 바) 피고는 2013. 10. 10. 사측 징계위원만으로 의결회의를 진행하여 원고들에 대한 이 사건 해고 등을 의결하였다. 
 사) 피고는 2013. 10. 14. 원고들에게 이 사건 해고 통지서를 내용증명우편으로 발송하고, 같은 달 18일 징계처분결과를 공고하였다. 
[인정 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8, 10, 11, 14, 19, 21, 22, 23, 81, 84, 123, 128 ~ 131, 151, 226호증, 을 제1 ~ 5, 7, 8, 11, 15, 20, 34 ~ 42, 44, 52, 68, 73호증의 각 기재 및 영상, 변론 전체의 취지

나. 단체협약 위배 여부

1) 관련 규정
갑 제10호증, 을 제13, 14호증의 각 기재에 의하면, 2010년 및 2012년 단체협약 중 관련 규정은 아래와 같다. (아래표 생략)
[위 인정 사실에 의하면, 2010년 단체협약 및 2012년 단체협약의 ‘쟁의 중 신분보장’ 규정의 내용이 동일하고, 징계위원회 위원을 노사 각 5인으로 구성하도록 한 규정 부분도 동일하므로, 원고들의 주장 중 제2노조 설립이 무효여서 제2노조가 체결한 2012년 단체협약이 아니라 2010년 단체협약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부분은 별도로 판단하지 아니한다]

2) ‘쟁의 중 신분보장’ 규정 위반 여부
 가) 단체협약에서 ‘쟁의기간 중에는 징계나 전출 등의 인사 조치를 아니 한다’고 정하고 있는 경우, 이는 쟁의기간 중에 쟁의행위에 참가한 조합원에 대한 징계 등 인사 조치 등에 의하여 노동조합의 활동이 위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노동조합의 단체행동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쟁의행위가 부적법하거나 단체행동권을 실질적으로 보장받지 못할 우려가 없는 경우에까지 징계나 전출 등의 인사조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쟁의행위가 그 목적에 있어 정당하고 절차적으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의 제반 규정을 준수함으로써 정당하게 개시된 경우라면, 비록 그 쟁의 과정에서 징계 사유가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쟁의가 계속되고 있는 한 그러한 사유를 들어 쟁의기간 중에 징계위원회의 개최 등 조합원에 대한 징계절차의 진행을 포함한 일체의 징계 등 인사 조치를 할 수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대법원 2013. 2. 15. 선고 2010두20362 판결, 2009. 2. 12. 선고 2008다70336 판결 등 참조).
 나) 이 사건 쟁의행위가 정당하게 개시되었는지 여부
  (가) 목적의 정당성
   쟁의행위에서 추구하는 목적이 여러 가지이고 그 중 일부가 정당하지 못한 경우에는 주된 목적 내지 진정한 목적의 당부에 의하여 그 쟁의목적의 당부를 판단하여야 하고, 부당한 요구사항을 제외하였다면 쟁의행위를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쟁의행위 전체가 정당성을 갖지 못할 것이다(대법원 2009. 6. 23. 선고 2007두12859 판결 등 참조). 
   위 인정 사실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저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관리자

등록일2016-08-29

조회수2,742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산전후휴가급여가 임금에 해당되는지 여부

산전후휴가급여가 임금에 해당되는지 여부☞ 공포 : 중앙행정심판위원회 2012-7-24 2012-08840 ☞ 사건이름 : 체당금 확인통지 취소청구  판시사항재판요지근로의 대가라 함은 근로의 대가 뿐만아니라 넓게는 근로자의 근로제공을 원활히 하게 하거나 근로의욕을 고취시키게 하는 것도 포함되는데 임신중인 여성의 산전휴휴가가 임신중인 여성의 근로의욕을 고취시키는 ..

Date 2016.04.15  by 관리자

연장·야간 및 휴일근로신청에 대한 거부는 징벌이 아니므로 구제명령의 대상이 되지 않는..

[판정요지] 연장·야간 및 휴일근로신청에 대한 거부는 징벌이 아니므로 구제명령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사례☞ 공포 : 중앙노동위원회 2013-5-13 2013부해193 ☞ 사건이름 : 부당해고 등 구제 재심신청  판시사항재판요지1. 개요가. 당사자○ 근로자: 2001. 9. 1.부터 2004. 3. 22. 이 사건 회사에 입사하여 생산직으로 근무 중인 사람들이다.○ 사용자: 상시근로자 약 80..

Date 2016.04.15  by 관리자

업무 외 부상으로 인한 장기휴직을 사유로 면직처분한 것은 부당해고에 해당하지 아니한..

업무 외 부상으로 인한 장기휴직을 사유로 면직처분한 것은 부당해고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판정한 사례☞ 공포 : 중앙노동위원회  2015-1-30    2014부해1211   ☞ 사건이름 : 부당해고 구제 재심신청☞ 원심판결 : 판시사항 재판요지근로자는 업무상 부상에 따른 휴직이었고, 업무외 부상이더라도 근로계약을 유지할 수 없을 정도의 책임이 근로자에게 ..

Date 2016.04.14  by 관리자

공민권 행사의 보장이 정상적인 근로관계의 유지가 어렵다고 인정될 수 있는 경우까지 포..

공민권 행사의 보장이 정상적인 근로관계의 유지가 어렵다고 인정될 수 있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은 아니라고 판정한 사례☞ 공포 : 중앙노동위원회  2015-3-20    2014부해1329   ☞ 사건이름 : 부당휴직 구제 재심신청☞ 원심판결 : 판시사항 재판요지① 근로자가 시의원으로서 연간 공식 의정활동 일수가 약 95일에 달하여 상당한 기간에 걸쳐 근로의 제..

Date 2016.04.14  by 관리자

정년이 지난 후에도 수년 동안 묵시적으로 근로관계를 유지해 오다가, 정년을 이유로 근로..

정년이 지난 후에도 수년 동안 묵시적으로 근로관계를 유지해 오다가, 정년을 이유로 근로계약을 해지한 것은 부당해고라고 판정한 사례☞ 공포 : 중앙노동위원회  2015-11-26    2015부해861   ☞ 사건이름 : 부당해고 구제 재심신청☞ 원심판결 : 판시사항 재판요지사용자는 정년도달 일에 정년퇴직 통보 등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아니한 점, 정년이 ..

Date 2016.04.14  by 관리자

경영상 해고 요건인 긴박한 경영상 필요성이 인정되지 않아 부당하다고 판정한 사례

업적연봉이 변동되지 않은채 고정되어 매월 지급된다면 통상임금에 해당☞ 공포 : 중앙노동위원회 2015-8-25 2015부해537 ☞ 사건이름 : 부당해고 구제 재심신청☞ 원심판결 :  판시사항  재판요지 사용자의 매출액 규모(80억원)로 볼 때 1,000만원 내외의 당기 손실이 발생하였다는 사정만으로 긴박한 경영상 필요성이 있었다고 보기 어려운 점, 수익금을 모두 매..

Date 2016.04.14  by 관리자

복지포인트는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한 판결

복지포인트는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한 사례☞ 공포 : 서울고법 2016-1-15 선고 2015나2016215 판결☞ 사건이름 : 임금☞ 원심판결 : 판시사항재판요지당사자【원고(선정당사자), 항소인】 ○○○외 2명(선정자 6천여 명)【피고, 피항소인】 국민건강보험공단【제1심판결】 서울서부지방법원 2015. 2. 12. 선고 2013가합5909 판결【변론종결】 2015. 11. 25.주문1. 제1심 판결 중..

Date 2016.04.12  by 관리자

직장가입자의 소득월액보험료 산정방법에 관한 판결

직장가입자의 소득월액보험료 산정방법에 관한 판결☞ 공포 : 대법원  2015-11-26  선고 2014두46294  판결☞ 사건이름 : 건강보험료독촉고지처분취소☞ 원심판결 : 서울고등법원 2014. 11. 18. 선고 2014누47770 판결판시사항1] 국민건강보험법령이 직장가입자에 대한 보험료를 보수월액보험료와 소득월액보험료로 구분하여 별도로 산정·징수하도록 한 취지[2] 국민건강보험..

Date 2016.04.12  by 관리자

회사 대표자가 ‘다른 직장을 알아보라’는 취지로 말한 것은 해고에 해당하는 것이고, 해..

회사 대표자가 ‘다른 직장을 알아보라’는 취지로 말한 것은 해고에 해당하는 것이고, 해고의 서면통지가 없어 부당해고라고 판단한 사례☞ 공포 : 서울행법  2015-12-3  선고  2015구합55448  판결☞ 사건이름 : 재심판정취소 청구의 소☞ 원심판결 :판시사항재판요지회사 대표자가 ‘업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니 다른 직장을 알아보라’는 취지로 말하고 재차 참..

Date 2016.04.11  by 관리자

자가운전보조금이 비과세 근로소득에 해당하는지 여부

자가운전보조금이 비과세 근로소득에 해당하는지 여부☞ 공포 : 대전지법  2014-9-24  선고  2012구합4335  판결☞ 사건이름 : 보험료부과처분취소☞ 원심판결 : 판시사항 [1] ‘직원들 개인 소유의 차량을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보조하기 위해 사업체의 규칙 등에 따라 지급된 20만 원 이내의 금액’이 차량 소유 여부에 관계없이 일률적으..

Date 2016.04.06  by 총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