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상담전화

031-913-9697

업무시간:
평일 오전 9:00 ~ 오후 6:00

FAX 031-913-9698

무료상담신청

- -
  

[자세히보기]

서울시, 청년일자리 창출가능한 서울형 강소기업 127개 선정

서울시, 청년일자리 창출가능한 서울형 강소기업 127개 선정
- 기업 성장가능성, 정규직 비중·임금수준 등 일자리 질 높은 우수 중소기업 엄선

 

서울시가 정규직 비중, 임금수준, 근무환경, 기업성장 가능성 등 일자리의 질을 꼼꼼히 따져 청년들이 일하기 좋은 ‘서울형 강소기업’ 127개를 선정했다. 이 기업들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성장시켜 질좋은 청년일자리를 창출해 맞춤형 청년인재들과 연결시키는 것이 목표다. 

서울시는 지난 2월 발표한 청년일자리정책의 일환으로 ‘서울형 강소기업’을 선정해 오는 9월부터 다각도의 지원을 펼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체계적인 기업 지원으로 질좋은 청년일자리 창출, 청년인재와 연결이 목표

시는 이번에 선정된 기업들을 청년이 일하기 좋은 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고용지원금 지원은 물론 컨설팅을 의무화하고, 청년들이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을 전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홍보방법을 동원해 인지도를 높인다. 

서울시는 지난 6월 10일부터 7월 8일까지 공모를 통해 164개 기업의 신청을 받았으며, 이들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역량, 고용의 양과 질, 청년 채용의지, 서울시 취업지원프로그램 협력정도 등을 심도있게 심사해 최종적으로 127개 기업을 엄선했다고 덧붙였다. 

이번에 선정된 ‘서울형 강소기업’은 청년일자리 창출 가능성과 청년들이 일하기 좋은 일자리에 집중해 선발했다는 점이 핵심. 

특히 신청자체를 기존 공공기관으로부터 우수 중소기업으로 인증을 받은 기업으로 한정하고, 심사항목도 ▲기업의 역량 ▲정규직 비율 및 증가율 ▲생활임금 지급비율 ▲복지·근무환경 등 일자리 질을 심도있게 따져 우수한 기업 인프라를 확보했다. 

- 청년 선호 IT, 통신·로봇 관련 등 일자리창출 가능성 높은 기업 대부분

이번에 선정된 기업을 살펴보면, 주로 청년들이 관심이 있는 응용·게임 등 소프트웨어 개발 등 IT업종과 통신, 로봇 주변장치, 의료기기 등 고부가가치 산업분야로 성장가능성이 높고 질 좋은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기업이 대부분이다. 

- 고용지원금 기업당 최대 100만원 10개월간 지원, 일자리확대를 위한 실질 지원

서울시는 선정된 ‘서울형 강소기업’들과 8월말까지 협약을 체결하고, 9월부터 청년 미취업자 신규채용 시 고용지원금, 기업홍보, 컨설팅 등 다양한 지원을 시작한다. 

지원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서울형 강소기업’이 만 18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미취업자를 신규 채용해 3개월 이상 고용을 유지할 경우, 고용지원금 100만원을 최대 2명까지 10개월간 지원한다. 고용지원금은 기업의 고용보조금(인건비 보조) 60만원과 정규직 신규 채용자에 대한 40만원이다. 청년 미취업자를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한 기업이 시에 구비서류(정규직채용통보서, 근로계약서 등)를 제출하면, 시는 채용자의 급여대장사본, 4대보험 가입확인서 등을 통해 사실여부 확인 후 고용지원금을 지급한다. 

- 기업 인지도 제고, 청년친화 근무환경 조성위한 기업홍보, 노무컨설팅의무화

서울시는 기업의 일자리 질 개선을 위한 노력을 의무화하고 이를 위해 기업홍보, 청년 기업탐방, 노무 컨설팅 등을 지원하여 기업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청년들의 인식전환을 돕는다는 계획이다.

우선, 서울형 강소기업들을 서울시 공식 SNS와 뉴스레터를 비롯해 경제 관련 매거진 등 언론, 잡코리아 등 취업포털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홍보할 예정이다. 

특히 청년의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전환을 위해 기업의 규모·경영능력 등 인지도 있는 기업부터 작지만 청년친화적인 내실 있는 기업 등 다양한 기업을 ‘청년취재단’이 직접 방문해 CEO 성향, 직장 분위기, 선후배 관계, 조직문화 등 청년의 시각으로 기업에 대한 스토리를 흥미있게 소개한다.

또, 청년구직자가 직접 서울형 강소기업을 탐방해 기업 CEO와의 대담 등을 통해 기업의 일자리 환경과 조직문화를 체험하는 프로그램도 지원한다.

서울시는 기업들의 일자리 질 개선을 위해 기업의 임금·근로환경·복리후생과 일자리관련 애로사항에 대한 노무컨설팅을 의무화하고 무료로 이를 지원한다. 

이 외에도 서울시는 지속적으로 청년인재와 기업간 일자리를 연결을 지원한다. 서울시일자리플러스센터나 대학 취업정보센터 등 시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활용해 우수 청년인재풀을 구성하고 기업이 필요한 청년을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 12월, 선정기업 중 일자리우수기업 추가 인증, 경영지원·판로확대 등 추가 혜택

한편 서울시는 이번에 선발된 서울형 강소기업을 대상으로 ▲일자리 성장성 ▲경영건전성 복지후생 ▲가정·여성·청년·직장친화 등을 추가로 검토해 오는 12월, ‘일자리 우수 강소기업’을 선정·인증하고 경영지원, 고용지원금 확대, 판로 및 홍보지원 등의 추가혜택도 제공할 계획이다.

유연식 서울시 일자리노동국장은 “중소기업과 청년의 일자리 문제 해소를 위해 올해 처음으로 시행하는 정책으로 청년들이 일하기 좋은 서울형 강소기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중소기업과 청년구직자가 서로 상생할 수 있는 정책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발행처 : 서울시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관리자

등록일2016-08-23

조회수3,125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기업 10곳 중 7곳, 저성과자 해고 지침 찬성”

지난 1월, 고용노동부가 성과가 낮거나 업무에 적응하지 못한 직원이 재교육 등을 통해서도 개선이 없을 경우 해고가 가능하다는 내용의 ‘일반해고 지침’을 발표한 이후 ‘쉬운 해고’라는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기업 10곳 중 7곳은 이 지침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기업 1,110개사를 대상으로 ‘저성과자 일반해고 지침 시..

Date 2016.08.19  by 관리자

중기 10곳 중 3곳 “하반기에 신입직 채용한다”

중기 10곳 중 3곳 “하반기에 신입직 채용한다”- 중기 신입직 채용 시 `직무경험`과 `전공자` 가장 우대하반기에 대졸 신입직을 채용하는 중소기업이 10개사 중 3곳 정도에 그칠 전망이다.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최근 직원 300인 미만 중소기업의 <하반기 대졸 신입직 채용계획>에 대해 조사했다. 그 결과 전체 응답 기업 416개사 중 하반기에 대졸 신입직을 채용하는 기업이 34.1%..

Date 2016.08.19  by 관리자

서울시, 찾아가는 취업박람회 개최… 7월까지 610명 취업

서울시, 찾아가는 취업박람회 개최… 7월까지 610명 취업- 4월부터 7회 개최, 구직신청자는 2,414명, 4명 중 1명이 취업성공 - 구인기업 384곳 참여, 중소기업이 가장 많고 업종은 서비스업·제조업이 다수- 사전매칭과 일대일 멘토링으로 취업률 높여, 1대 1 사후관리도 실시- 25일(목) 성동구청서 개최, 9월~10월에도 금천, 서초에서 진행서울시가 지난 4월부터 7월까지 7차례에 걸쳐 ..

Date 2016.08.19  by 관리자

납품대금, 생산제품 빼돌리고 도주한 임금체불 사업주 구속

납품대금, 생산제품 빼돌리고 도주한 임금체불 사업주 구속- 근로자 79명의 임금등 금품 8억9천만원 체불 8.12.(금) 대구지방고용노동청(청장 최기동)은 근로자의 임금, 퇴직금 등 8억9천5백만원을 체불한 자동차부품 제조업체 ㈜○○테크(경북 경산 소재) 대표 이모씨(남, 56세)를 근로기준법 등 위반 혐의로 구속하였다.구속된 이씨는 회사경영이 어려워지자 원청업체에서 지급..

Date 2016.08.19  by 관리자

NCS기반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합격자 221명 발표

고용노동부(장관 이기권)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 박영범)은 12일(금)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합격자 221명을 발표했다.올해 처음으로 시행된 과정평가형 자격 외부평가에는 광주공업고, 한국디지털직업전문학교 등 24개 교육·훈련기관에서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등 11개 종목에 420명이 응시하였으며, 최종 합격률은 52.6%로, 지난 해 29.3% 보다 23.3%p 상승하였다. 이 같은 ..

Date 2016.08.12  by 관리자

근로복지공단, 퇴직연금 금융상품 통합정보 공시

근로복지공단, 퇴직연금 금융상품 통합정보 공시- 업권 통합 914개 퇴직연금 금융상품 수익률·위험지표 통합비교 가능 근로복지공단(이사장 이재갑)은 은행·자산운용사·생명보험사·손해보험사 업권 전체 2016년 상반기 기준 퇴직연금상품 통합정보를 8월 1일부터 개시하였다고 밝혔다. 그동안 퇴직연금 수익률·상품보수 등 금융상품 정보는 각 금융회사 및 업권별로 공..

Date 2016.08.12  by 관리자

“40대~50대 주부, 생계 위한 취업 증가”

“40대~50대 주부, 생계 위한 취업 증가”- 비정규직의 저임금 일자리가 대부분, ‘양질의 일자리’ 없어 일자리 선택 폭 좁아 ‘늦깎이 취업전선’에 뛰어드는 4050 주부가 급증하는 추세다. 벼룩시장구인구직(대표이사 최인녕)이 최근 자사 사이트를 통해 취업활동을 한 기혼여성 신규 이력서 수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2016년 1월~6월) 새로 취업시장에 유입된 기혼여..

Date 2016.08.12  by 관리자

“직장인 60%, 휴가 후유증으로 힘들다”

“직장인 60%, 휴가 후유증으로 힘들다”- 후유증 극복방법 1위는 ‘충분한 휴식’ 몸과 마음의 재충전을 위해 휴가를 떠나지만, 복귀 후 후유증으로 고생하는 직장인이 많다. 실제로 직장인 10명 중 6명은 휴가를 다녀온 뒤 더 힘들어지는 휴가 후유증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직장인 556명을 대상으로 ‘휴가 후유증 ..

Date 2016.08.12  by 관리자

“직장인 10명 중 4명, 사내 언어폭력에 무감각!”

“직장인 10명 중 4명, 사내 언어폭력에 무감각!”- ‘62%, 언어폭력 당한 경험 있어’ 회사 내에서 욕설, 막말 등이 난무하다 보니, 직장인 10명 중 4명은 사내 언어폭력에 무감각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직장인 1,105명을 대상으로 ‘직장 내 언어폭력에 무감각해지고 있음을 느끼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44.3%가 ‘..

Date 2016.08.11  by 관리자

7월 고용률 61.2%, 실업률 3.5%

8월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취업자는 2,660만 3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9만 8천명 증가하였다. 고용률은 61.2%로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하였고, 15~64세 기준 고용률은 66.7%로 전년동월대비 0.4%p 상승하였다. 실업률은 3.5%로 전년동월대비 0.2%p 하락하였다. 취업자 동향을 보면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의 증가폭이 확대되고, 도매및소매업 감소폭..

Date 2016.08.11  by 관리자

권익위, 복직한 공익신고자에게 또 징계한 KT에 징계 취소 요..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성영훈, 이하 권익위)는 KT가 제주7대경관 선정 전화투표 부정의혹을 신고했던 공익신고자에게 내린 감봉 1개월의 재징계조치의 취소를 요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KT는 지난 3월 권익위의 해임처분 취소 요구 등 보호조치 결정이 법원 판결로 확정되어 복직한 공익신고자 이모 씨에게 해임처분 당시와 동일한 사유인 무단결근 등을 이유로 다시 감봉 1개월..

Date 2016.08.10  by 관리자

“구직자 74%, 면접 중 불쾌했던 경험 있다!”

구직자 10명 중 7명은 면접 진행 과정이나 면접관의 태도 등에서 불쾌한 감정을 느낀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구직자 948명을 대상으로 ‘면접 중 불쾌했던 경험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73.5%가 ‘있다’라고 답했다. 성별에 따라서는 ‘여성’이 78.9%로 ‘남성’(68.9%)보다 불쾌했던 경험이 더 많았다.면접에서..

Date 2016.08.10  by 관리자